라즈베리파이에서 한글을 사용하려면 먼저 몇 개의 패키지를 설치해주어야 합니다. 터미널 창을 열어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고 설치를 진행합니다.

pi@RaspberryPi3:~ $ sudo apt-get install ibus ibus-hangul ttf-unfonts-core

(참고로 apt-get 명령으로 설치된 패키지들은 /var/cache/apt/archive/ 폴더에 모이게 됩니다.)


그 다음 [시작메뉴(산딸기 아이콘)] -> [Preferences] -> [Raspberry Pi Configuration] 메뉴 항목을 선택하여 설정창이 나타나도록 합니다. (물론 이전 글에서 설명한 sudo raspi-config 명령으로도 같은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만 이번에는 GUI를 사용해보는걸로..)


먼저 상단에 있는 네 개의 탭 중에서 마지막 [Localisation] 탭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Set Locale...]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나타나는 Locale 창에 아래 그림과 같은 형태로 선택합니다. [Language = ko(Korean), Country = KR(Republic of Korea), Character Set = UTF-8]

[시작메뉴(산딸기 아이콘)] -> [Preferences(기본 설정)] -> [Raspberry Pi Configuration] 메뉴

출처: http://kkokkal.tistory.com/1288 [悠悠自適]
[시작메뉴(산딸기 아이콘)] -> [Preferences(기본 설정)] -> [Raspberry Pi Configuration] 메뉴

출처: http://kkokkal.tistory.com/1288 [悠悠自適]
[시작메뉴(산딸기 아이콘)] -> [Preferences(기본 설정)] -> [Raspberry Pi Configuration] 메뉴를 선택

출처: http://kkokkal.tistory.com/1288 [悠悠自適]
[시작메뉴(산딸기 아이콘)] -> [Preferences(기본 설정)] -> [Raspberry Pi Configuration] 메뉴를 선택하여

출처: http://kkokkal.tistory.com/1288 [悠悠自適]
[시작메뉴(산딸기 아이콘)] -> [Preferences(기본 설정)] -> [Raspberry Pi Configuration] 메뉴를 선택

출처: http://kkokkal.tistory.com/1288 [悠悠自適]
[시작메뉴(산딸기 아이콘)] -> [Preferences(기본 설정)] -> [Raspberry Pi Configuration] 메뉴를 선택하여

출처: http://kkokkal.tistory.com/1288 [悠悠自適]


그리고나서 [Set Timezone...] 버튼을 클릭하고 [Area = Asia, Location = Seoul] 형태로 입력합니다.


마지막으로 [Set Keyboard...] 버튼을 눌러서 나타나는 Keyboard Layout 창에서는 [Country = Korea, Republic of, Variant = Korean (101/104 key compatible)] 형태로 선택합니다.


[Set WiFi Country] 버튼은 누를지 말고, 디폴트 상태로 놔둡니다. 혹시라도 WiFi Country를 굳이 KR (Korea South)로 선택할 경우, 오히려 WiFi가 동작하지 않을 수 있으니 설정하지 말고 디폴트 상태로 놓아두세요.


설정 완료 후 라즈베리파이가 재부팅을 수행할 것이며, 재부팅 후에는 바탕화면의 Wastebasket 아이콘 이름이 휴지통으로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만약 텍스트 편집기 등에서 한글을 입력하고 싶다면 X-window 우측 상단의 US 아이콘을 클릭하여 "한국어 - Hangul"로 변경한 후 한글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osted by kkokkal
:

앞서 설명한 "SSH로 라즈베리파이에 접속하기"는 단순히 텍스트 위주의 터미널 접속인데요, 경우에 따라서는 라즈비안 X-window 화면과 완전히 동일한 형태로 원격 접속을 하고 싶은 경우도 있습니다.


작년에 라즈베리파이를 셋업할 때에는 XRDP라는 remote desktop protocol 서버를 설치하고 윈도우에서 "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하는 방법을 사용했었는데요, 이번에 다시 원격 접속 방법을 알아보니까 최신 라즈비안에 XRDP를 설치할 경우 이미 설치되어 있는 realvnc 패키지와 충돌이 발생하여 에러가 발생한다는 글을 보았습니다. (http://blog.naver.com/nkkh159/220854734867 참고)


VNC라는 것도 원격 접속 프로그램입니다. 20년전 대학원에 다닐 때에도 vnc를 이용하여 원격 접속을 했던 기억이 있는데요, 어차피 XRDP를 꼭 사용해야 하는 이유가 있는 것은 아니니 이번에는 VNC를 이용한 원격 접속 환경을 구축하기로 했습니다. 저같은 경우 앞서 "라즈베리파이 최초 부팅 후 기본 설정" 글에서 이미 VNC 항목을 enable 해놓았기 때문에 라즈베리파이에서 할 일은 이미 다 해놓은 상황입니다.


그러므로 MS Windows가 설치되어 있는 PC에서 VNC viewer, 즉 VNC client 프로그램만 설치하고 IP 주소를 이용하여 접속만 하면 됩니다. VNC viewer는 아래 링크에서 다운받아 설치할 수 있습니다.

https://www.realvnc.com/download/vnc/


설치한 VNC viewer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적당히 새 연결을 생성하면 아래 그림처럼 라즈베리파이를 GUI 환경 형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Posted by kkokkal
:

SSH는 Secure Shell을 의미하고, 기존의 telnet과 유사한데 보안성이 높은 연결 방식이라고 보면 됩니다. 앞서 "라즈베리파이 최초 부팅 후 기본 설정" 글에서 라즈베리파이의 SSH 설정을 enable 하였기 때문에 다른 PC에서 SSH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라즈베리파이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SSH 터미널 프로그램은 아무래도 putty입니다. 기본적인 기능을 잘 지원하고 공짜이기 때문에 널리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putty 프로그램은 아래 링크에서 다운받을 수 있으며, 설치 버전을 다운받아 설치해도 되고 또는 그냥 exe 파일만 다운받아서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https://www.chiark.greenend.org.uk/~sgtatham/putty/latest.html


SSH를 통해 라즈베리파이에 접속을 하려면 당연히 라즈베리파이의 주소를 알아야합니다. 라즈베리파이에서 터미널 창을 열고 ifconfig 명령을 입력하면 자신의 IP 주소를 알 수 있습니다. 앞서 WiFi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 연결을 하였기 때문에 wlan0 아래에 IP 주소가 나타납니다.


라즈베리파이 주소를 알아냈으면 이제 putty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실제 접속을 해보겠습니다. putty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먼저 나타나는데, 여기에 라즈베리파이의 주소를 입력하고 [Open] 버튼을 클릭하면 됩니다. 저는 라즈베리파이가 2대 가지고 있어서 각각에 대해 따로 세션 이름을 지정하여 IP 주소를 저장해놓은 상태입니다.


[Open] 버튼을 클릭하여 접속을 시도하면 아래와 같은 터미널 창이 나타납니다. (아마도 putty를 사용하여 최초 라즈베리파이에 접속할 때 접속을 확인하는 대화 상자가 나타날 수가 있는데 그냥 Yes 눌러주면 됩니다.) 사용자 아이디로 pi를 입력하고, 앞서 설정했던 암호를 입력하면 접속에 성공합니다. 그리고 uname -a 를 입력해서 시스템 정보를 보면 앞서 설정했던 그 라즈베리파이가 맞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저는 putty 창의 글씨 폰트를 FixedSys 10으로 설정해서 사용합니다. Lines of scrollback은 충분히 크게 변경하구요.. (20000 정도?)

참고로 리눅스 또는 다른 라즈베리파이에서 SSH 접속을 하려면 ssh pi@192.168.25.16 형태로 명령어를 입력하면 됩니다.

Posted by kkokkal
:

이번에 라즈베리파이를 새로 설정하기 위해 다운로드 받았던 라즈비안 OS 이미지 파일 이름은 2017-04-10-raspbian-jessie.img 입니다. 2017년 4월 10일에 패키징되었다는 뜻이겠죠. 이미 두 달 이상의 시간이 지나간 상태인지라 이 이미지 자체도 약간은 구식(?)이 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그래서 라즈비안을 최신의 상태로 업그레이드하는 작업을 수행해보려고 합니다.


일단 터미널 창을 하나 열고, 여기에 uname -a 라는 명령을 입력해보겠습니다. 그리고 이어서 df 라는 명령도 입력해보죠.

uname -a 명령은 현재 시스템의 정보를 보여주는 명령이고, df는 하드디스크 사용 용량을 알려주는 명령입니다. 현재 리눅스 커널 버전이 4.4.50이고, 하드 디스크(실제로는 MicroSD 카드) 전체가 15G 정도에서 3.7G 정도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업데이트 작업을 하면 커널 버전이 조금 올라가고 하드 디스크 사용 용량이 조금 늘어나지 않을까 기대를 해보구요... (df 대신 df -h 라고 입력하면 조금 더 보기 좋게 출력됩니다.)


터미널 창에서 화면을 깨끗하게 지우는 명령은 clear 입니다. clear 명령으로 화면을 깨끗하게 지우고 이제 본격적인 시스템 업그레이드 작업을 해보겠습니다. 터미널 창에 sudo apt-get update 명령을 입력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sudo 명령은 그 뒤에 나오는 명령어를 슈퍼유저 권한으로 실행하기 위한 명령입니다. apt-get 명령은 설치 패키지 관리를 위한 명령어고, atp-get update는 실제 패키지 업그레이드를 하는 것이 아니라 패키지 리스트 정보를 갱신하는 작업입니다.


이번에는 실제 패키지 업그레이드 작업을 위해 sudo apt-get dist-upgrade 명령을 입력합니다. 이 명령을 입력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어떤 패키지를 업그레이드를 할 것이고 얼마만큼의 저장 공간을 사용할 것인지를 알려줍니다. 그리고 계속할 것인지를 묻는데요, 디폴트로 Y가 선택되기 때문에 그냥 엔터만 입력하여도 업그레이드를 진행하게 됩니다. 이 작업은 인터넷에서 패키지를 다운받으면서 진행되기 때문에 꽤 오랜 시간이 걸릴 수도 있습니다. (10~30분정도?)


인터넷을 뒤져보면 sudo apt-get upgrade 명령으로 업그레이드를 진행하는 글이 많은데요, 현재 라즈베리파이 공식 사이트에서 권장하는 방법은 sudo apt-get dist-upgrade 명령입니다. (https://www.raspberrypi.org/documentation/raspbian/updating.md 참고) sudo apt-get dist-upgrade 명령은 이미 설치된 패키지들과의 의존성을 검사하여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명령인데요, 아무래도 이것이 더 안전한 방법이 아닐까 하는 생각입니다.


업그레이드 작업이 정상적으로 끝나면 이번에는 다시 sudo rpi-update 명령을 입력합니다.

sudo rpi-update 명령은 커널과 펌웨어를 업그레이드하는 명령이라고 하는데요, 최근의 라즈베리파이에서는 굳이 하지 않아도 된다고 합니다. 그래도 뭔가 더 좋아지지 않을까하는 막연한 생각에 rpi-update까지 진행을 했습니다.


이제 일단의 시스템 업그레이드가 완료되었습니다. 이제 sudo reboot 명령을 입력해서 시스템을 재부팅하고, 다시 한번 uname -a 명령을 입력해보면 커널 버전이 4.9.31로 업그레이드 된 것을 확인하실 수가 있습니다.



Posted by kkokkal
:

라즈비안 OS가 설치된 라즈베리파이는 완전한 하나의 소형 PC입니다. 키보드와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고 높은 해상도의 모니터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WiFi를 설정하면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인터넷 서핑도 할 수 있습니다. 보통의 데스크탑 PC에는 없는 블루투스 기능도 있어서 원한다면 블루투스 키보드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다만 문제는 라즈비안 OS가 (우리에게 익숙한) MS Windows가 아니라 리눅스라는 점입니다. 딱히 안되는 기능은 없지만 사용하기가 좀 어려운 것이 사실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일단 최초 부팅 후 해야만 할 것 같은 작업들을 정리하겠습니다.


일단 라즈베리파이 설정은 GUI 환경에서 [시작메뉴(산딸기 아이콘)] -> [Preferences(기본 설정)] -> [Raspberry Pi Configuration] 메뉴를 선택하여 나타나는 윈도우에서 수행할 수 있습니다만 아직은 전통적인(?) 텍스트 방식의 인터페이스를 선호하는 사람들이 더 많은 것 같습니다. 전통적인 방법을 사용하려면 상단의 [Terminal] 아이콘을 선택하여 검정 바탕에 흰 글씨가 나타나는 창을 하나 생성합니다. 그리고 여기에 sudo raspi-config 명령을 입력합니다. (sudo raspi-c 까지만 입력하고 Tab 키를 누르면 자동 완성됩니다.)


그러면 아래 그림과 같이 파란 배경의 설정화면이 나타나며, 여기서 우선적으로 필요한 설정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1. 디폴트 유저 암호 설정

  • 디폴트 유저 이름은 pi이고, 디폴트 유저의 암호는 raspberry이다. 기본 암호를 그냥 사용해도 되지만 그래도 WiFi 설정하여 인터넷에 물려놓을 것이기에 암호는 바꾸는 것이 좋다.
  • raspi-config 화면에서 1번을 선택하면 암호를 변경할 수 있다.


2. 호스트 네임 변경

  • 기본 호스트네임은 raspberrypi이다.
  • 호스트네임도 원한다면 변경하도록 하자. 개인적으로는 크게 바꾸지는 않고 RaspberryPi3이라고 변경하였다.
  • 이 값은 /etc/hostname 파일에 저장된다.


3. SSH, VNC 설정

  • raspi-config 화면에서 5번 Interfacing Options를 선택하면 다시 여러가지 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 나온다.

  • 여기에서 SSH는 putty 같은 터미널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라즈베리파이에 접속할 때 필요하다.
  • VNC는 원격 화면 제어 프로그램인데, VNC를 enable 시켜놓고 다른 PC에서 VNC 클라이언트로 라즈베리파이에 접속하여 GUI 환경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 맨 위의 Camera 옵션은 라즈베리파이 카메라를 사용할 경우에 설정한다.


일단 이정도만 설정하고 raspi-config 화면에서 <Finish> 메뉴를 선택하면 라즈베리파이가 재부팅할 것입니다. 재부팅을 하고나면 이번에는 무선 인터넷을 설정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4. WiFi 설정하기

  • WiFi는 GUI 화면(X-Window 화면)에서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다. 마치 스마트폰에서 무선 AP를 선택하고 암호를 입력하는 것과 거의 유사하다.
  • X-Window 화면 우측 상단에서 빨간색으로 x가 쳐있는 아이콘이 WiFi 아이콘이다. 이 아이콘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 WiFi AP 목록이 나타난다.

  • 이중에서 본인이 사용하는 WiFi AP를 선택하면 암호를 입력하는 창이 나타나고, 암호를 제대로 입력하고나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일단 AP를 선택하고 암호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인터넷을 접속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외에도 설정할 것들이 많이 남아 있지만 일단 한 번 쉬어가겠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라즈베리파이 시스템 설정을 4월 10일 버전이 아닌,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Posted by kkokkal
:

2016년 3월에 라즈베리파이라는 것의 존재를 알게 되었고, 크게 부담이 되지 않는 가격($35)이길래 바로 구입해서 이것저것 설치도 해보고 가지고 놀았던 기억이 있다. OpenCV도 깔아보고 GIT 서버로 써볼까 공부도 해보다가 결국에는 Kodi를 설치하고나서 개인 NAS 및 멀티미디어 재생기(?) 형태로 사용중이었다. 1년도 더 지난 현재 시점에서 보아하니 너무 오래된 (리눅스) 버전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하는 생각이 들어 라즈베리안을 새로 깔고 서버를 구축하는 작업을 다시 진행하려고 하고, 그 과정을 간락하게 정리하려고 한다.


* 라즈베리파이 자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공식 홈페이지] 또는 [나무 위키]를 참조!


1. 라즈비안(Raspbian) OS 다운로드

  • https://www.raspberrypi.org/downloads/raspbian/ 사이트에서 Raspbian Jessie with Pixel (Image with PIXEL desktop based on Debian Jessie) 다운로드.
  • 현재 2017년 4월 10일 버전을 다운받을 수 있으며, 이 버전의 커널 버전은 4.4이다.
  • 다운로드 받은 ZIP 파일의 압축을 풀면 2017-04-10-raspbian-jessie.img 파일이 생성되며, 이 파일의 크기는 4,285,005,824 바이트이다.

2. MicroSD 카드에 이미지 쓰기

  • 마이크로 SD 카드에 Jessie 이미지를 쓰기 위해서는 Win32 Disk Imager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이 프로그램은 https://sourceforge.net/projects/win32diskimager/ 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으며, 현재 1.0 버전을 다운받을 수 있다. (2017-03-08 updated)
  • Win32 Disk Imager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인터페이스가 나타나는데, 여기서 2017-04-10-raspbian-jessie.img 파일을 선택하고 마이크로 SD 카드가 있는 드라이브를 지정하고 [Write] 버튼을 클릭!
  • 2017-04-10-raspbian-jessie.img 이미지가 4GB 조금 넘기 때문에 SD 카드는 8GB 짜리를 사용해도 설치할 수 있고, 실제로도 8GB SD 카드를 사용하여도 충분하다.


3. 라즈비안 부팅하기

  • 라즈베리파이3(모델 B)에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HDMI)를 연결하고 마이크로 5pin 전원을 연결한다. 일반적인 스마트폰 충전기를 사용해도 웬만하면 잘 동작한다. (그래도 전류가 너무 낮은 것보다는 5V, 1.8A 정도는 사용해야...)

  • 처음 부팅을 하면 화면 중앙에 "Resized root filesystem. Rebooting in 5 seconds..." 라는 메시지가 나타난다. 예전에는 라즈비안을 처음 부팅하고 raspi-config 명령을 통해 직접 SD카드 용량 전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해야 했는데, 아마 최신 버전에서는 그게 자동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보인다.
  • 다시 한 번 부팅을 하고 조금만 기다리면 아래와 같은 아름다운 화면이 나타난다. 이제 생각해야할 것은 한 가지. 이제 뭐하지??


Posted by kkokk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