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바(samba)는 Windows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PC에서 Linux 또는 UNIX 서버에 접속하여 파일이나 프린터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소프트웨어이다. 1991년 호주의 박사과정 학생이었던 앤드루 트리젤(Andrew Tridgell)이 개발하였다.  (from 위키백과)

samba는 MS Windows 운영체제에서 리눅스를 네트워크 드라이브 같은 형태로 접속해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라즈베리파이에 samba를 설치하면 같은 네트워크에 물려있는 Windows PC에서 탐색기를 실행하여 아래 그림처럼 해당 라즈베리파이(여기서는 RASPBERRYPI3)를 볼 수 있고, 실제로 RASPBERRYPI3 아이콘을 더블클릭하면 기본 사용자 pi 홈디렉토리를 탐색할 수 있습니다.


일단 samba는 기본 설치되어 있는 것이 아니므로 터미널 창에서 sudo apt-get install samba samba-common-bin 명령어를 입력해서 따로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기본 사용자인 pi에 대하여 삼바 암호를 설정합니다. samba 암호 설정 명령어는 sudo smbpasswd -a pi 입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암호를 2번 물어봅니다.


일단 삼바 설치까지는 잘 되었는데요, 이번에는 Windows에서 실제로 samba 접속을 해서 사용할 때 좀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일부 설정을 변경하려고 합니다. 삼바 관련 설정은 /etc/samba/smb.conf 파일을 편집하면 되구요, 시스템 설정 파일이기때문에 관리자 권한으로 편집을 해야 합니다. sudo vi /etc/samba/smb.conf 명령을 입력해서 아래와 같이 편집을 합니다.

smb.conf 파일은 [global], [homes], [printers] 등의 섹션으로 나누어져 있는데요, 일단 [global] 섹션 맨 아래, [homes] 섹션 바로 위에 follow symlinks = yes, wide links = yes, unix extensions = no 같은 설정을 추가합니다. 저는 나중에 라즈베리파이에 외장 하드를 달고 심볼릭 링크를 이용하여 외장 하드에 접근할 예정이라 이를 위한 용도로 심볼릭 링크 관련 설정을 추가한 것이구요..

그 밑에 [pi] 섹션을 새로 만들어서 pi 유저로 접속할 때 사용할 설정을 추가했습니다. 대충 속성 이름을 보면 무슨 의미인지는 알 수 있을 것 같네요. mask에 대해서 잘 모르시는 분들은 리눅스(유닉스)에서 파일 권한(file permission) 쪽을 공부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몇몇 블로그에 0777 권한을 사용하는 설명이 있는데요, 딱히 권장하지는 않습니다.)


smb.conf 파일 편집이 끝나면 이제 samba를 다시 시작합니다. 터미널 창에 sudo /etc/init.d/samba restart 명령을 입력하면 samba가 다시 시작되고, Windows PC에서 접속이 가능해집니다. 필요하다면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을 해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Posted by kkokkal
:

집에서 라즈베리파이 하나에는 외장 하드를 달고 Kodi를 설치해서 멀티미디어 서버로 활용할 계획인지라 유동 IP가 아닌 고정 IP를 설정하여 사용하려고 합니다. 말 그대로 아무리 재부팅을 하더라도 IP 주소가 바뀌지 않고 (내가 설정한 값으로) 고정이 되어 있게 만드는 것입니다.


일단 현재 라즈베리파이가 WiFi가 연결은 되어 있다는 가정하에, 터미널 창에서 ifconfig 명령을 입력해봅니다. (WiFi 연결은 "라즈베리파이 최초 부팅 후 기본 설정" 게시글 맨 아래에 적어두었습니다.)

ifconfig 명령은 리눅스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을 보여주는 명령어인데요, 위 그림에서 관심을 가지고 봐야 하는 것은 wlan0입니다. wlan0가 무선 인터넷 연결 설정을 의미하고, 노란색 박스 부분이 제 라즈베리파이의 IP 주소입니다. 우리집 내부 네트워크에서만 사용되는 내부 IP 주소죠. 예전에 이사하기 전에 살던 집에서 IPTIME 공유기를 사용할 때에는 192.168.0.xxx 형태였는데, 이번에 BTV 공유기에서는 192.168.25.xxx 형태로 내부 IP를 잡네요. 만약 고정 IP를 설정하지 않으면 라즈베리파이를 재부팅할때마다 맨 마지막 번호인 16이 계속 바뀔 수 있어서 서버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기왕 192.168.25.16으로 주소가 할당되었으니 항상 이 주소를 사용하도롤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해보겠습니다. 네트워크 설정은 /etc/network/interfaces 파일에서 수정할 수 있으며, 이 작업은 슈퍼유저 권한이 필요하니 sudo 명령으로 편집기를 실행해야 합니다. 저는 vi가 편하니까 다음과 같이 입력하여 편집했습니다.

pi@RaspberryPi3:~ $ sudo vi /etc/network/interfaces


그리고 /etc/network/interfaces 파일을 다음과 같은 형태로 수정합니다.

위 그림에서 녹색 박스 안쪽을 수정하면 됩는데요, 먼저 박스에서 첫 번째 줄 맨 뒤를 원래 manual이었던 것을 static으로 변경하고, 그 아래 주소들을 적절하게 변경합니다. address 항목에 원하는 내부 IP 주소를 입력하고, 나머지 항목들은 적절하게 입력하면 됩니다. 보통 IP 주소 4개의 필드 중에서 1, 2, 4번 필드는 위와 동일할 것이고, 세 번째 필드만 원래 할당되었던 주소의 것을 복사해서 사용하면 됩니다.


/etc/wpa_supplicant/wpa_supplicant.conf 파일에는 이미 설정한 적이 있는 WiFi AP에 대한 정보가 저장이 되어 있습니다. 실제로 sudo cat /etc/wpa_supplicant/wpa_supplicant.conf 명령으로 파일 내부를 살펴보면 아래 그림과 같은 내용이 출력됩니다.


이제 재부팅을 하고 다시 ifconfig 명령으로 IP 주소를 확인하여 아까 설정한 주소가 맞는지 확인해보면 됩니다.

Posted by kkokkal
:

라즈베리파이에서 한글을 사용하려면 먼저 몇 개의 패키지를 설치해주어야 합니다. 터미널 창을 열어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고 설치를 진행합니다.

pi@RaspberryPi3:~ $ sudo apt-get install ibus ibus-hangul ttf-unfonts-core

(참고로 apt-get 명령으로 설치된 패키지들은 /var/cache/apt/archive/ 폴더에 모이게 됩니다.)


그 다음 [시작메뉴(산딸기 아이콘)] -> [Preferences] -> [Raspberry Pi Configuration] 메뉴 항목을 선택하여 설정창이 나타나도록 합니다. (물론 이전 글에서 설명한 sudo raspi-config 명령으로도 같은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만 이번에는 GUI를 사용해보는걸로..)


먼저 상단에 있는 네 개의 탭 중에서 마지막 [Localisation] 탭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Set Locale...]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나타나는 Locale 창에 아래 그림과 같은 형태로 선택합니다. [Language = ko(Korean), Country = KR(Republic of Korea), Character Set = UTF-8]

[시작메뉴(산딸기 아이콘)] -> [Preferences(기본 설정)] -> [Raspberry Pi Configuration] 메뉴

출처: http://kkokkal.tistory.com/1288 [悠悠自適]
[시작메뉴(산딸기 아이콘)] -> [Preferences(기본 설정)] -> [Raspberry Pi Configuration] 메뉴

출처: http://kkokkal.tistory.com/1288 [悠悠自適]
[시작메뉴(산딸기 아이콘)] -> [Preferences(기본 설정)] -> [Raspberry Pi Configuration] 메뉴를 선택

출처: http://kkokkal.tistory.com/1288 [悠悠自適]
[시작메뉴(산딸기 아이콘)] -> [Preferences(기본 설정)] -> [Raspberry Pi Configuration] 메뉴를 선택하여

출처: http://kkokkal.tistory.com/1288 [悠悠自適]
[시작메뉴(산딸기 아이콘)] -> [Preferences(기본 설정)] -> [Raspberry Pi Configuration] 메뉴를 선택

출처: http://kkokkal.tistory.com/1288 [悠悠自適]
[시작메뉴(산딸기 아이콘)] -> [Preferences(기본 설정)] -> [Raspberry Pi Configuration] 메뉴를 선택하여

출처: http://kkokkal.tistory.com/1288 [悠悠自適]


그리고나서 [Set Timezone...] 버튼을 클릭하고 [Area = Asia, Location = Seoul] 형태로 입력합니다.


마지막으로 [Set Keyboard...] 버튼을 눌러서 나타나는 Keyboard Layout 창에서는 [Country = Korea, Republic of, Variant = Korean (101/104 key compatible)] 형태로 선택합니다.


[Set WiFi Country] 버튼은 누를지 말고, 디폴트 상태로 놔둡니다. 혹시라도 WiFi Country를 굳이 KR (Korea South)로 선택할 경우, 오히려 WiFi가 동작하지 않을 수 있으니 설정하지 말고 디폴트 상태로 놓아두세요.


설정 완료 후 라즈베리파이가 재부팅을 수행할 것이며, 재부팅 후에는 바탕화면의 Wastebasket 아이콘 이름이 휴지통으로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만약 텍스트 편집기 등에서 한글을 입력하고 싶다면 X-window 우측 상단의 US 아이콘을 클릭하여 "한국어 - Hangul"로 변경한 후 한글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osted by kkokkal
: